설악산 신흥사 조실 설악당 무산 대종사 원적 3주기 추모다례재가 23일, 신흥사 설법전에서 봉행됐다. 다례재에는 문도와 선원수좌, 교구본사, 종단, 종회 대표 스님들과 문인 정계 등 각계인사가 동참해 스님을 추모했다.
 

< 앵커 >

대한불교조계종 제 3교구 본사 설악산 신흥사는 오늘(23), 조실 설악당 무산 대종사 원적 3주기 추모 다례재를 봉행하고, 스님의 가르침을 새겼습니다.

특히 스님의 추상같은 수행가풍과 함께 경계 없이 두루 미친 자비원력, 보살행을 이어 정진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춘천불교방송 김충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터 >

추상같은 선풍과 묵향 가득한 선시, 무량한 대자비의 실천으로 우리 사회 전체에 큰 울림을 주고 원적에 든 신흥사 조실 설악당 무산 대종사 3주기 추모다례재가 봉행됐습니다.

신흥사 설법전에서 봉행된 다례재에는 문도와 원로의원, 선원 수좌, 교구본사 대표, 종단 대표, 종회 대표 스님들과 문인, 정계 등 각계 인사 사부대중이 동참해 스님을 기렸습니다.

설악당 무산 대종사는 조계종조 도의국사가 개창해 천 년 넘게 이어 온 조계선풍을 설악산 신흥사에서 계승하고 백담사에 조계종립기본선원을 세워 엄정하고도 따스한 수행 가풍을 후학들에게 전했습니다.

문도들은 스님의 가르침과 뜻을 이어 쉼 없이 정진해 중생제도에 더욱 힘쓰고 한국 불교 발전에 기여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우송스님(신흥사 회주) - “조실스님께서 끼치신 영향이 크고 생전에 쌓으신 덕이 높다는 것을 다시금 저희들은 깨닫고 있습니다. 오늘 3주기를 맞고 보니 조실스님의 여러 가르침들이 다시금 떠오릅니다. 앞으로도 대중들과 함께 조실스님의 가르침을 잘 이어갈 수 있도록 더욱 정진하겠습니다.”

지혜스님(신흥사 주지) - “앞으로 저희 교구본사는 회주스님을 중심으로 잘 화합해서 조실스님의 가르침을 잘 이어 갈 수 있도록 정진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신흥사 조실 설악당 무산 대종사 3주기 추모다례재에서 회주 우송스님과 주지 지혜스님이 헌다와 3배를 올리고 있다.
신흥사 조실 설악당 무산 대종사 3주기 추모다례재에서 회주 우송스님과 주지 지혜스님이 헌다와 3배를 올리고 있다.

신흥사는 추모 다례재에 이어 스님의 부도탑과 비석 제막식을 봉행했습니다.

비석은 특히 스님의 행장과 가르침, 오도송과 열반송 등을 담아 도반인 화암사 회주 정휴스님이 지은 비문을 새겨 스님을 만대에 기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지원스님(신흥사 문장, 전 포교원장) - “행주좌와가 수행이었던 스님은 어느 날 수많은 법신이 삼라만상 가운데 현현하고 있음을 깨닫고 천성부전(千聖不傳)의 송을 읊었다. <밤늦도록 책을 읽다가 밤하늘을 바라보다가 먼 바다 울음소리를 듣노라면 천경만론(千經萬論)이 모두 바람에 이는 파도란다.>”

신흥사와 다례재 동참 사부대중은 일평생 걸림 없는 수행과 가늠할 길 없는 대자비의 실천으로 큰 가르침을 남기신 설악당 무산 대종사를 추모하고 유훈을 새겨 정진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BBS 뉴스 김충현입니다.

신흥사는 조실 설악당 무산 대종사 3주기 추모다례재에 이어 스님의 부도탑과 행장-가르침 오도송 열반송 등을 새긴 비석 제막식을 봉행했다.
신흥사는 조실 설악당 무산 대종사 3주기 추모다례재에 이어 스님의 부도탑과 행장-가르침 오도송 열반송 등을 새긴 비석 제막식을 봉행했다.